CS 공부

# 오프프레미스와 온프레미스

박태정 입니다. 2025. 2. 15. 23:35
반응형

오프프레미스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내가 직접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클라우드 공급자가 인프라, 플랫폼, 소프트웨어 등을 호스팅하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오프프레미스(Off-Premise)라고 부른다. 자체적으로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초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면 온프레미스(On-Premise)는 무엇일까? 온프레미스 방식은 네트워크 선을 직접 설치하고,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관리하는 형태다.

그런데, 온프레미스 방식이 완전히 사라지는 걸까? 🤔
클라우드가 대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보안이 중요한 금융권이나 일부 기업에서는 온프레미스를 선호한다고 한다.

온프레미스의 예시: 네이버 춘천 데이터센터 🏔️

네이버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프라이빗 IDC(Internet Data Center)를 운영하는 대표적인 예시다. 특히, 춘천 데이터센터는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프리쿨링(Free Cooling)’을 활용한다고 한다.

프리쿨링이란, 서버실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전기 대신 외부의 찬 공기를 이용해 냉각수를 만드는 방식이다. 춘천처럼 산간 지방에서는 연중 최대 6개월까지 프리쿨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프레미스는 부지를 뜻한다.

  • "오프(Off) + 프레미스(Premise)" = 내 건물 밖에서 제공되는 IT 인프라이고
  • "온(On) + 프레미스(Premise)" = 내 건물(부지) 안에서 직접 운영하는 IT 인프라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물리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클라우드보다 더 경제적일까? 🤔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겠지만, 유지보수 비용과 초기 투자 비용을 고려하면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것이 합리적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완전한 클라우드 전환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고민할 부분이 많다.

반응형

'CS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컨테이너와 도커  (0) 2025.02.15
# IaaS, PaaS, SaaS  (1) 2025.02.15
# 클라우드와 가상머신  (0) 2025.02.15
# 내부 변경에도 변하지 않는 API  (0) 2025.02.15
# 데이터 교환 형식 - XML  (0)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