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13 데이터베이스와 MySQL 24.12.19
박태정 입니다.
2025. 2. 12. 16:28
반응형
데이터베이스와 MySQL: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필수 도구 🚀
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면 데이터는 쉽게 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워드나 엑셀 작업 중 저장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모든 작업이 날아가는 경험, 다들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
서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버가 처리하는 정보가 메모리에만 남아 있다면 서버가 종료되는 순간 데이터는 사라지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과 MySQ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컴퓨터의 핵심 부품과 정보 저장 원리 💻
정보 저장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컴퓨터의 핵심 부품 세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로, 계산과 연산을 처리합니다.
- RAM (Random Access Memory):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부품으로, 서버가 실행 중일 때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합니다.
- DISK (HDD/SSD): 장기 기억을 담당하며,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합니다.
데이터 저장의 흐름
- 코드 저장: 우리의 개발 코드는 DISK(장기 기억)에 저장됩니다.
- 서버 실행: 코드를 실행하면 DISK에서 RAM(단기 기억)으로 복사됩니다.
- 작업 수행: API 요청이 발생하면 CPU와 RAM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작업을 처리합니다.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이유
POST API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가정해봅시다.
- 사용자 정보는 RAM에 작성됩니다.
- 서버가 종료되면 RAM에 저장된 모든 정보는 사라집니다.
- 다시 서버를 시작해도 사용자 정보는 없습니다.
😱 이를 방지하려면 데이터를 DISK에 저장하여 장기 기억으로 남겨야 합니다.
2. 데이터를 장기 기억으로 저장하기: 데이터베이스 활용 📚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려면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MySQL이라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표(table) 형태로 구조화하여 저장합니다.
- 표(Table):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관계(Relation): 서로 연결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SQL이란 무엇인가?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SQL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주요 SQL 명령어:
- SELECT: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 INSERT: 데이터를 삽입합니다.
- UPDATE: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 DELETE: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명령을 전달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데이터는 왜 저장해야 할까요? ✅
오늘은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과 MySQL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컴퓨터의 핵심 부품: CPU, RAM, DISK의 역할을 이해했습니다.
- 데이터 손실 방지: RAM이 아닌 DISK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합니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MySQL): 데이터를 표 형태로 구조화하여 저장합니다.
- SQL: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는 언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