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공부
# 데이터 교환 형식 - XML
박태정 입니다.
2025. 2. 15. 23:33
반응형
XML
XML이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마크업 형태를 사용하는 데이터 교환 방식이다.
마크업이란?
- 태그 등을 이용해서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속성 부여도 가능하다.)
- 태그로 감싸져 있다.
XML의 구성 요소
- 프롤로그: XML 버전과 인코딩 정보를 포함한다.
- 루트 요소: 단 하나만 존재해야 한다.
- 하위 요소들: 루트 요소 아래에 여러 개의 요소가 올 수 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OSTList>
</OSTList>
HTML vs XML
구분 | HTML | XML |
---|---|---|
태그 | 정해진 태그만 사용 가능 | 사용자가 직접 정의 가능 |
용도 | 데이터를 표시하는 용도 |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하는 용도 |
대소문자 구분 | 구분하지 않음 | 대소문자 구분 |
HTML은 보다 느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XML은 엄격한 규칙을 따른다.
JSON vs XML
구분 | XML | JSON |
---|---|---|
크기 | 무겁다 | 가볍다 |
구조 | 태그 기반 | 키-값 기반 |
파싱 방식 | 복잡한 역직렬화 과정 필요 | 간단한 구조로 변환이 용이 |
XML이 JSON보다 무거운 이유
- 닫는 태그가 필요하여 파일 크기가 커진다.
- XML은 다양한 언어에서 변환하는 과정(역직렬화)이 JSON보다 복잡하다.
- 구조적 차이와 파싱 방식의 차이 때문이다.
XML의 활용
1. Sitemap.xml
- 내가 배포한 사이트의 구조를 정리한 XML 파일로 사용된다.
-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의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
- 언어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 교환 용도로 활용된다.
반응형